맨위로가기

탄도탄 요격 미사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탄도탄 요격 미사일(ABM)은 탄도 미사일의 공격을 막기 위해 개발된 미사일 시스템이다. 최초의 ABM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V-1, V-2 로켓 요격 시도로 거슬러 올라가며, 냉전 시대에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개발 경쟁이 심화되었다. 초기에는 핵탄두를 사용한 요격 방식이 시도되었으나, MIRV 탄두의 등장으로 인해 요격의 경제성이 떨어져 1972년 ABM 조약으로 개발이 제한되었다. 이후 조약 파기 후, 미국은 GBI, SM-3, THAAD, 패트리어트 미사일 등의 다양한 요격 시스템을 개발했으며, 이스라엘, 러시아, 중국, 일본, 대한민국 등도 자체적인 ABM 시스템을 개발하거나 도입했다. 각국은 장거리, 중간 거리, 단거리 요격 능력을 갖춘 시스템을 구축하여 탄도 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사일에 관한 - 지대공 미사일
    지대공 미사일은 지상에서 발사되어 항공기나 미사일을 요격하는 미사일로, 냉전 시대를 거치며 장거리 요격에 주력하여 개발되었고, 현대에는 소형화, 기동성 향상, 탄도 미사일 요격 능력까지 갖추며 사거리와 운용 목적에 따라 고고도·중고도, 단거리, 근거리 방공 미사일 등으로 분류된다.
  • 미사일에 관한 - 탄도 미사일
    탄도 미사일은 로켓 기술을 기반으로 장거리 비행을 통해 목표물을 타격하는 무기로, 사거리, 발사 플랫폼, 비행 단계에 따라 분류되며 핵무기 탑재를 통해 전략적 억제력을 확보하는 데 사용된다.
  • 탄도탄 요격 미사일 - 사드
    사드는 미국이 개발한 탄도탄 요격 미사일 방어 시스템으로, 요격 미사일, 발사대, X밴드 레이더로 구성되며 북한의 탄도미사일 위협에 대한 대응책으로 대한민국에 배치되었으나 외교적·경제적 논란을 야기했다.
  • 탄도탄 요격 미사일 - L-SAM
    L-SAM은 한국형 미사일 방어체계의 핵심으로, 탄도 미사일과 항공 미사일에 대응하는 장거리 지대공 미사일 체계이며, 다기능 레이더를 통해 표적을 탐지, 추적, 요격하는 능력을 갖추고 L-SAM II 개발을 통해 다층 방어망을 구축할 예정이다.
  • 무기에 관한 - 지대공 미사일
    지대공 미사일은 지상에서 발사되어 항공기나 미사일을 요격하는 미사일로, 냉전 시대를 거치며 장거리 요격에 주력하여 개발되었고, 현대에는 소형화, 기동성 향상, 탄도 미사일 요격 능력까지 갖추며 사거리와 운용 목적에 따라 고고도·중고도, 단거리, 근거리 방공 미사일 등으로 분류된다.
  • 무기에 관한 - 탄도 미사일
    탄도 미사일은 로켓 기술을 기반으로 장거리 비행을 통해 목표물을 타격하는 무기로, 사거리, 발사 플랫폼, 비행 단계에 따라 분류되며 핵무기 탑재를 통해 전략적 억제력을 확보하는 데 사용된다.
탄도탄 요격 미사일
개요
유형지대공 미사일
설계 목적탄도 미사일 요격
역할미사일 방어
기술적 특징
주요 기능탄도 미사일 요격
특징다층 방어 시스템의 일부로 사용됨
고고도 및 저고도 요격 가능
역사
개발 배경냉전 시대 미사일 위협에 대한 대응으로 개발 시작
배치특정 국가의 방어 시스템에 통합되어 운용
운용 국가
주요 운용국여러 국가에서 운용 중 (국가명은 문서에 명시되지 않음)
기타
관련 용어미사일 방어
탄도 미사일
지대공 미사일

2. 역사

1946년 매직 프로젝트 미사일


최초로 광범위한 시험에 들어간 ABM 시스템인 미국 육군의 나이키 제우스 미사일 발사


탄도탄 요격 미사일(ABM)의 역사는 현대 미사일이 처음 사용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의 V-1, V-2 프로그램에서 시작되었다.

영국은 90mm 대공포, SCR-584 레이더, 웨스턴 일렉트릭/벨 연구소 컴퓨터를 활용하여 V-1 요격에 성공했다.[89] V-2는 공중 요격이 어려웠지만, SCR-584 레이더로 궤적을 추적하고 발사 위치를 파악했다. 연합군은 크로스보우 작전으로 V-2를 파괴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벨기에와 네덜란드의 발사 기지를 점령하려 했다.[89]

전쟁 중 벨 연구소는 탄도 미사일 요격이 불가능하다고 결론 내렸지만, 1950년대 고속 컴퓨팅 시스템 등장으로 상황이 바뀌어 ABM 시스템 개발이 시작되었다.[90]

미국은 1946년 매직 프로젝트를 통해 V-2 요격 미사일 개발을 시도했다. 1957년 소련의 스푸트니크 발사 후, LIM-49 나이키 제우스 개발을 가속화했지만, 핵무기 관계자들의 반대로 1963년 취소되었다.

1958년 미국은 남대서양 상공에서 W25 탄두를 이용한 핵무기 시험 폭발을 통해 ICBM 요격 가능성을 조사했다.[91] 아르구스는 핵전자기 펄스(NEMP)에 대한 중요 데이터를 제공했다.

V-1000


소련은 1953년부터 ABM 연구 자금을 요청, 1956년 시스템 A 개발을 승인받았다. V-1000 미사일 기반 시스템은 1960년 최초 요격 시험, 1961년 실제 탄두 요격 시험에 성공했다. 카푸스틴 야르[92]에서 발사된 R-12 탄도 미사일이 모의 탄두를 발사했고, 사리샤간에서 발사된 V-1000이 16,000개의 초경질합금 구형 충격체로 파괴했다.[93] V-1000 시스템은 신뢰성 부족으로 핵무장 ABM으로 대체되었고, 퇴역한 V-1000은 소형 로켓 개발에 사용되었다.[94] 파켈 5V61 미사일 개발 후, A-35 탄도탄 요격 미사일 시스템이 1971년 모스크바에 배치되었다. A-35는 1980년대 A-135로 업그레이드되었다.

LGM-118A 피스키퍼의 재진입체 시험 발사. 단 하나의 미사일에서 8개의 재진입체가 발사되었다. 각 선은 탄두의 궤적을 나타내며, 실제 폭발이었다면 히로시마형 원자폭탄 25개의 위력에 해당하는 폭발력을 가졌을 것이다.


초기 ABM 시스템은 대형 ICBM의 단일 탄두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핵폭발을 이용한 중성자 살상 효과로 탄두 무력화가 가능했다.[96] 그러나 요격 미사일은 정교한 유도 시스템과 짧은 사정거리로 인해 각 ICBM에 대해 여러 발이 필요했고, 이는 "비용 교환 비율" 논쟁으로 이어졌다. 1970년 독립 목표 재진입체(MIRV) 탄두 도입으로 ABM 시스템은 ICBM보다 훨씬 비싸졌다.[90]

1972년 ABM 조약 체결로 전략적 ABM 배치가 제한되었다.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의 전략방위구상(SDI, "스타워즈")은 ABM 기술 연구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으나, 당시 기술로는 실현 불가능한 부분이 많았다.

1990년대 후반 개발된 경량 대기권외 발사체는 미 해군이 사용하는 개조된 SM-2 블록 IV 미사일에 부착된다.


1990년대 패트리엇 미사일이 걸프 전쟁에서 스커드 미사일 요격에 사용되었으나 효과는 제한적이었다. 이지스 전투 시스템과 스탠더드 미사일이 ABM 기능을 갖도록 확장되었다. 2008년 SM-3 미사일이 비기능성 위성을 요격했다.[101][102] 1991년 브릴리언트 페블스 우주 기반 ABM 시스템이 제안되었으나 개발이 중단되었다.

1990년대 초 조지 H. W. 부시 대통령은 국가 미사일 방어 체계(NMD)를 요구했고, 2002년 지상배치 중간단계 방어 체계(GMD)로 개명되었다. 2002년 미국은 탄도탄 방어 조약에서 탈퇴, 미사일 방어 시스템 개발을 재개했다. 2010 리스본 정상회의에서 NATO의 ABM 프로그램이 채택되었다. 2016년 미 육군은 대탄도 미사일 연습용 좀비 파인더 로켓 시험을 실시했다.[106] 2020년 미국은 SM-3 블록 IIA 미사일로 모의 ICBM 요격에 성공했다.[109]

2. 1. 냉전 시대의 ABM 개발 경쟁

독일의 V-1V-2 프로그램에서 현대 미사일이 처음 사용된 시점부터 로켓 파괴 아이디어가 시작되었다.

영국 전투기는 비행 중인 V-1 일부를 격추했지만, 90mm 대공포와 SCR-584 레이더, 웨스턴 일렉트릭/벨 연구소 컴퓨터를 활용한 대공포 사격이 더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들은 사정권에 진입한 V-1에 대해 95%의 성공률을 보였다.[89]

최초의 탄도 미사일인 V-2는 공중에서 파괴된 기록이 없지만, SCR-584는 궤적 추적과 발사 위치 결정에 유용했다. 연합군은 크로스보우 작전을 통해 V-2를 파괴하려 했으나 효과가 없었고, 벨기에와 네덜란드의 발사 기지를 점령하려는 노력으로 이어졌다.[89]

제2차 세계 대전 중 벨 연구소는 비행 중 탄도 미사일 격추가 불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렸지만, 고속 컴퓨팅 시스템의 등장으로 1950년대 중반 상황이 바뀌어 여러 군대가 ABM 시스템을 고려하게 되었다.[90]

미국군은 독일의 로켓 기술 연구가 명확해짐에 따라 대미사일 미사일 실험을 시작, 1946년 매직 프로젝트를 통해 V-2 요격 미사일 개발을 목표로 했다.

1957년 소련의 스푸트니크 발사 이후, 미국 육군은 LIM-49 나이키 제우스 시스템 개발을 가속화했다. 그러나 핵무기 관계자들은 핵탄두 건설과 상호 확실한 파괴 보장이 더 간단하다고 제안했고, 제우스는 1963년 취소되었다.

1958년 미국은 공중 폭발 핵무기를 이용한 ICBM 요격 가능성을 조사, 남대서양 상공에서 저수율 핵무기(W25 탄두) 시험 폭발을 실시했다.[91] 이 폭발은 X선 폭발을 방출하여 인공 방사선대를 만들었지만, 탄두 손상에는 실패했다. 그러나 아르구스는 핵전자기 펄스(NEMP)에 대한 중요 데이터를 제공했다.

캐나다의 CARDE는 ABM 시스템의 주요 문제점들을 연구, 터미널 유도 시스템과 고급 적외선 검출기를 개발하고, 미사일 동체 설계, 고체 로켓 연료 등을 연구했다. 그러나 1950년대 후반 예산 삭감으로 연구가 종료되었다. 이 프로젝트의 파생물로는 제럴드 불의 시스템, CRV7, 블랙 브랜트 로켓 등이 있다.

소련군은 1953년부터 ABM 연구 자금을 요청, 1956년에 시스템 A 개발을 승인받았다. V-1000 미사일을 기반으로 한 이 시스템은 1960년 최초 요격 시험, 1961년 실제 탄두 요격 시험에 성공했다. 카푸스틴 야르[92]에서 발사된 R-12 탄도 미사일이 모의 탄두를 발사했고, 사리샤간에서 발사된 V-1000이 이를 요격, 16,000개의 초경질합금 구형 충격체로 파괴했다.[93]

V-1000 시스템은 신뢰성 부족으로 핵무장 ABM으로 대체되었고, 퇴역한 V-1000은 소형 로켓 개발에 사용되었다.[94] 더 큰 미사일인 파켈 5V61이 개발되었고, 모스크바 보호용 A-35 탄도탄 요격 미사일 시스템이 1971년 배치되었다. A-35는 대기권 밖 요격을 위해 설계되었으나, 다탄두와 레이더 차단 공격에 취약했다.

A-35는 1980년대에 2단계 시스템인 A-135로 업그레이드되었다. 고르곤(SH-11/ABM-4) 장거리 미사일은 대기권 밖, 가젤(SH-08/ABM-3) 단거리 미사일은 대기권 내 요격을 담당했다. A-135 시스템은 1975년 미국의 세이프가드 시스템과 기술적으로 동등한 것으로 여겨진다.[95]

나이키 제우스는 ICBM 시대에 한 번에 하나의 목표물만 공격 가능하다는 한계와 고고도 핵폭발 상황에서의 요격 능력 우려로 인해 1963년 취소되었다.

이후 레이더, 미사일 등 업그레이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레이더 블랙아웃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 이를 위해 저고도 탄두 공격용 고성능 미사일이 설계되었고, 나이키-X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주요 미사일은 LIM-49 스파르탄으로, 장거리와 대기권 밖 X선 폭발로 탄두 파괴를 위한 5메가톤급 탄두를 장착했다. 스프린트 미사일은 스파르탄을 피한 탄두 처리를 위해 추가, 증강 방사능 탄두를 장착했다.

나이키 X의 실험적 성공으로 린든 B. 존슨 행정부는 "센티넬" ABM 방어 체계를 제안했다. 로버트 맥나마라는 센티넬이 소련이 아닌 중화인민공화국의 핵 위협에 대응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ABM의 장점에 대한 공개 논쟁이 시작되었고, 분수 궤도 폭격 시스템(FOBS), 고고도 EMP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경제적 이유로 실현 불가능해지자, 세이프가드가 제안되었다.

ABM 시스템은 초기 단일 탄두 ICBM 대응을 위해 개발되었다. 경제적으로는 방어가 유리해 보였다.[90] 핵무기 폭발 효과 외에도, 중성자 살상 효과가 탄두를 무력화시켰다.[96]

그러나 요격 미사일 가격은 정교함으로 인해 상당했고, 유도 및 제어 시스템, 짧은 사정거리로 인해 각 ICBM에 대해 수십 개의 요격 미사일이 필요했다. 이는 "비용 교환 비율" 논쟁으로 이어졌다.

1970년 독립 목표 재진입체(MIRV) 탄두 도입으로 각 발사체가 여러 탄두를 발사, ABM 시스템은 ICBM보다 훨씬 비싸졌다.[90]

2. 2. 1972년 ABM 조약과 그 이후

1972년 미국과 소련은 ABM 조약을 체결하여 서로 탄도탄 요격 미사일(ABM)을 개발하지 않기로 합의했다. 이는 최첨단 기술이 필요한 ABM 개발을 중단하여 군비 경쟁을 억제하려는 목적이었다.[90]

하지만 양국은 독자적인 유도탄 방어 체제 구축을 위해 조약 내용 수정 협상을 계속했고, 결국 2002년 미국이 일방적으로 조약에서 탈퇴하면서 조약은 파기되었다.

초기 ABM 시스템은 대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에서 발사된 단일 탄두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당시에는 대형 ICBM의 가격이 요격 미사일보다 비싸기 때문에, 군비 경쟁에서 방어가 유리할 것으로 예상되었다.[90] 핵폭발의 효과 외에도, 핵폭발은 강력한 방사선을 발생시켜 공격 미사일의 탄두를 무력화시키는 중성자 살상 효과를 낼 수 있었다.[96]

그러나 요격 미사일은 정교한 유도 및 제어 시스템을 필요로 했기 때문에 가격이 상당히 비쌌다. 또한, ICBM의 목표를 미리 알 수 없었기 때문에 각 ICBM에 대해 여러 개의 요격 미사일이 필요했다. 이로 인해 요격 미사일과 탄두 간의 "비용 교환 비율"에 대한 논쟁이 벌어졌다.

1970년 독립 목표 재진입체(MIRV) 탄두가 도입되면서 상황은 크게 바뀌었다. 각 발사체가 여러 개의 탄두를 발사하게 되면서, 각 탄두마다 요격 미사일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ABM 시스템은 방어하는 ICBM보다 훨씬 더 비싸질 수밖에 없었다.[90]

이러한 기술적, 경제적, 정치적 문제로 인해 1972년 ABM 조약이 체결되어 전략적 탄도탄 요격 미사일 배치가 제한되었다.

ABM 조약과 1974년 개정에 따라 각국은 단 하나의 작은 지역을 보호하기 위해 100기의 ABM만 배치할 수 있었다. 소련은 모스크바 방어 시스템을 유지했고, 미국은 노스다코타주 그랜드 포크스 공군기지 근처의 ICBM 기지를 지정했다. 이곳에 배치되었던 미사일들은 1975년에 폐기되었고, 주요 레이더 기지(PARCS)는 현재 북쪽을 향한 조기 경보 ICBM 레이더로 사용되고 있다.

미국 세이프가드 시스템은 핵탄두를 장착한 LIM-49A 스파르탄과 스프린트 미사일을 사용했으며, 1975/1976년의 짧은 운용 기간 동안 세계에서 두 번째 대륙간탄도탄 요격 시스템이었다. 세이프가드는 미국 대륙간탄도탄의 주요 기지를 공격으로부터 보호하여 상호 확증 파괴 원칙을 강화했다.

2. 3. 현대의 ABM 개발 동향

탄도탄 요격 미사일(ABM) 개발은 여러 국가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 러시아는 A-135 대탄도탄 시스템(2017년 A-235로 업그레이드)을 모스크바 방어에 사용하고 있다.[1] 1995년에 실전 배치되었으며, 핵탄두 대신 운동에너지탄을 사용하여 ICBM을 요격한다.[1]
  • 이스라엘은 2017년에 애로우 3 시스템을 실전 배치했다.[2] 이 시스템은 ICBM을 포함한 탄도 미사일의 우주 비행 구간에서 대기권 밖 요격을 위해 설계되었다.[2]
  • 미국의 지상배치 중간단계 방어 체계(GMD)는 1999년에 최초로 성공적인 요격 시험을 실시했다. 운동에너지탄을 사용하여 ICBM을 요격하며, 불량 국가의 제한적인 핵 공격으로부터 미국 본토를 보호하는 데 목적이 있다.[3][4]
  • 이지스 탄도탄 방어 시스템을 탑재한 SM-3 블록 II-A 미사일은 2020년 11월 16일에 ICBM 목표물을 격추하는 데 성공했다.[5] 2020년 11월 시험에서 콰자레인 환초에서 발사된 모의 ICBM을 구축함 에서 발사한 미사일로 대기권 밖에서 파괴했다.[6][7]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의 전략방위구상(SDI, 일명 "스타워즈")은 ABM 기술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SDI는 대규모 소련 ICBM 공격에 대한 방어를 목표로 했으나, 당시 기술로는 실현 불가능한 부분이 많아 연구 프로그램으로 남았다. SDI 이후 기술은 현재 미사일 방어국(MDA)에서 사용되고 있다.

1990년대에는 패트리엇 미사일이 걸프 전쟁에서 스커드 미사일 요격에 사용되었으나, 효과는 제한적이었다. 이후 성능 개선을 거쳐 PAC-3 미사일이 개발되었다. 이지스 전투 시스템과 스탠더드 미사일도 ABM 기능을 갖도록 확장되었다.

1991년에는 브릴리언트 페블스라는 우주 기반 ABM 시스템이 제안되었으나, 개발 비용 및 기술적 문제로 인해 중단되었다.

1990년대 초, 조지 H. W. 부시 대통령은 제한적인 국가 미사일 방어 체계(NMD)를 요구했고, 이는 2002년에 지상배치 중간단계 방어 체계(GMD)로 개명되었다.

2002년, 미국은 탄도탄 방어 조약에서 탈퇴하고 미사일 방어 시스템 개발을 재개했다. 러시아는 이에 반발하여 START II 협정을 폐기했다.

2010 리스본 정상회의에서는 NATO의 ABM 프로그램이 채택되었다. 이는 이란의 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여겨졌으나, 러시아는 핵 억지력 약화를 우려하여 반발했다.

2016년, 미 육군은 대탄도 미사일 연습용 좀비 파인더 로켓 시험을 성공적으로 실시했다.[106]

3. 주요 기술 및 운용 방식

탄도탄 요격 미사일(ABM)은 매우 빠른 속도와 높은 고도로 인해 요격이 극히 어려웠다. 최초의 탄도미사일인 V2 로켓은 제2차 세계 대전런던을 공격하는 데 사용되었는데, 영국은 이를 요격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당시 기술로는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판단했다. V2 로켓은 마하 4 이상의 속도로 비행했고, 우주 공간을 거쳐 왔기 때문에 기존의 고사포와 같은 무기로는 대응하기 어려웠다.

1950년대에 들어서면서 유도 미사일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탄도 미사일 요격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이 열렸다. 초기에는 요격 미사일에 핵탄두를 탑재하여 X선을 통해 적 핵탄두를 무력화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이 방식은 요격 미사일의 핵폭발로 인한 광범위한 영향으로 명중 정확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자국 영토 상공에서 핵무기가 폭발한다는 점과 고고도 핵폭발로 인한 전자기 펄스 장애 발생은 심각한 문제였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아군 역시 피해를 입을 수 있었고, 적의 추가 공격에 대한 대응 능력이 저하될 수 있었다.

3. 1. 요격 방식

탄도탄 요격 미사일(ABM)은 빠른 속도와 높은 고도로 인해 요격이 매우 어렵다. 초기에는 고사포를 이용한 탄막 형성 등이 고려되었으나, 기술적 한계로 실현되지 못했다.

1950년대에는 유도 미사일 기술이 발전하면서, 핵탄두를 탑재한 요격 미사일이 개발되었다. 이 방식은 핵폭발로 발생하는 X선과 방사선을 이용하여 적 탄두를 무력화했다. 미국은 나이키 제우스, 스파르탄, 스프린트 등의 핵탄두 탑재 요격 미사일을 개발했으나, 자국 영토에서의 핵폭발 위험과 전자기 펄스 발생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소련도 갈로쉬 요격 미사일을 개발하여 배치했다.

1972년 탄도탄 방어 미사일 제한 조약(ABM 조약) 체결로 미국은 요격 미사일 운용을 포기했고, 소련은 모스크바에 소수만 배치했다.

1980년대 전략방위구상(SDI)에서는 레이저 무기 등 재래식 무기를 이용한 요격 방식이 연구되었으나, 기술적 문제로 실패했다.

1990년대 이후, 미국미사일 방어(BMD) 계획을 추진하면서 요격 미사일 개발을 재개했다. 스탠더드 미사일 SM-3(해상 발사, 고고도 요격), GBI(지상 발사, 대기권 밖 요격), THAAD 및 패트리어트 미사일 PAC-3(저고도 요격) 등이 개발되었다.

2001년 조지 W. 부시 대통령이 미사일 방어(MD) 추진을 재차 표명하고, ABM 조약에서 탈퇴하면서 요격 시스템 개발이 더욱 활발해졌다.

3. 2. 요격 단계

탄도탄 요격 미사일은 발사 초기 단계, 비행 단계, 최종 단계 등 여러 단계에서 요격이 시도된다.

미국의 현재 계획에 따르면, 장거리에서는 GBI 미사일을, 해상에서는 스탠더드 미사일을 사용한다. 이전 단계에서 요격에 실패했을 경우, 최종 단계에서는 지상에서 중거리용 THAAD, 단거리용 패트리어트 미사일을 발사하여 요격한다.

최초의 탄도미사일인 V2 로켓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런던을 목표로 사용되었는데, 당시 기술로는 속도가 매우 빠르고 우주 공간을 비행해 오기 때문에 요격이 사실상 불가능했다.

1950년대에 들어서면서 유도 미사일 기술이 발전하면서 탄도 미사일을 요격하기 위한 시도가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요격 미사일에 핵탄두를 탑재하여 X선으로 적 핵탄두를 무력화하는 방식이 사용되었으나, 자국 영토에서 핵무기가 폭발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고도 핵폭발은 전자기 펄스 장애를 일으켜 아군에게도 피해를 줄 수 있었다.

1972년 탄도탄 방어 미사일 제한 조약(ABM 조약) 체결 이후, 미국은 요격 미사일 운용을 포기했고, 소련은 모스크바에 소수만 배치했다.

1980년대 전략방위구상(SDI)으로 탄도탄 요격 미사일 개발이 다시 주목받았지만, 주로 레이저 무기 등을 개발하는 데 집중되었다.

SDI 계획 실패 이후, 미국은 이지스함에 탑재되는 스탠더드 미사일 SM-3, 지상에서 발사되는 GBI, 재진입 단계의 미사일을 요격하는 THAAD 및 패트리어트 미사일 PAC-3 등을 개발했다.

1993년 빌 클린턴 대통령이 미사일 방어(BMD) 추진을 표명하고, 1999년 일본이 공동 개발에 참여하면서 개발이 본격화되었다. 2001년 조지 W. 부시 대통령이 미사일 방어(MD) 추진을 재차 표명하고, 2002년 ABM 조약에서 탈퇴하면서 요격 시스템 개발이 더욱 활발해졌다.

3. 3. 주요 ABM 시스템 구성 요소

미국의 현재 계획으로는, 발사 초기 단계인 장거리에서는 GBI 미사일을 사용하고, 해상에서는 스탠더드 미사일을 사용한다. 이전 단계에서 요격에 실패했을 경우, 최종 단계로 지상에서 중거리용 THAAD, 단거리용 패트리어트 미사일 등을 발사해 적국에서 날아오는 탄도미사일을 요격한다. 이스라엘은 탄도탄 요격 레이저를 최초로 실전배치하였다.

1950년대에 개발이 시작된 핵탄두 탑재형 요격 미사일로는, 미국이 나이키 제우스를 1957년부터 계획, 1962년에 본격적으로 개발했지만 1972년까지 실용화되지 못하여 폐기되었으며, 스파르탄, 저고도용 스프린트가 있다. ABM 조약 체결 후 배치된 세이프가드 계획은 1975년 10월 1일 노스다코타주에 배치되었지만 다음 날 하원에서 폐쇄안이 가결되어 폐기되었다.

소련에서는 1962년에 갈로쉬 요격 미사일의 배치가 시작되어, 이후 개량이 거듭되어, 1995년에 고고도 요격에는 A-135, 저고도 요격에는 53T6을 사용하는 ABM-3(러시아 명칭은 A-135)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1972년 탄도탄 방어 미사일 제한 조약(ABM 조약) 체결 이후, 미국은 1975년에 운용을 포기하고, 소련은 수도 모스크바에 소수만 배치하게 되었다.

SDI 계획이 실패한 후, 미국은 개발을 재개하여 이지스함에 탑재하여 해상에서 발사, 대기권 밖까지 도달하여 고고도를 비행하는 미사일을 요격하는 스탠더드 미사일 SM-3과, 기지 근처 육상에서 대기권 밖을 비행하는 미사일을 요격하는 GBI, 미사일의 고도가 낮아지는 재진입 시점을 노리는 THAAD 및 패트리어트 미사일 PAC-3을 개발했다.

4. 각국의 ABM 시스템

각국의 탄도탄 요격 미사일 중량 비교
명칭중량(kg)나라
패트리어트 미사일 PAC-2900
패트리어트 미사일 PAC-3320
KS-1 미사일900
S-400 48N6E 미사일1700
S-400 9M96E 미사일420
애로우 미사일900
아스터 30 미사일510
천궁 미사일420
HQ-9 미사일1300
SM-3 미사일1500
AAD 미사일1200
03식 지대공 미사일570
블랙 스패로우 미사일1200
블루 스패로우 미사일1900
THAAD 미사일900
GBI 미사일14000



블랙 스패로우 미사일과 블루 스패로우 미사일은 탄도탄 요격 미사일(ABM)은 아니지만, ABM용 가상 목표물이다. 블루 스패로우 미사일은 개조를 통해 인공위성 요격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어 ABM 목록에 포함되었다.

전 세계적으로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을 요격할 수 있는 시스템은 제한적이다.


  • 러시아의 A-135 대탄도탄 시스템(2017년 A-235로 업그레이드)[1]모스크바 방어에 사용되며, A-35 대탄도탄 시스템이 전신이다. 이 시스템은 고르곤 및 가젤 미사일을 사용하며, 비핵 운동에너지 요격탄으로 ICBM을 요격한다.[1]
  • 이스라엘의 애로우 3 시스템은 2017년에 실전 배치되었다. 우주 비행 구간에서 대기권 밖 요격을 하며, 반위성 무기로도 사용될 수 있다.[2]
  • 미국의 지상배치 중간단계 방어 체계(GMD)는 불량 국가의 제한적인 핵 공격으로부터 미국 본토를 보호한다. GMD는 러시아의 전면적인 핵 공격으로부터는 보호할 수 없다.[3][4]
  • 이지스 탄도탄 방어 시스템을 탑재한 SM-3 블록 II-A 미사일은 2020년 11월 16일에 ICBM 목표물을 격추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5]


이스라엘의 애로우 3


1993년 서유럽 국가들은 탄도탄 방어 프로그램에 대해 논의하는 심포지엄을 개최했다.[8] 2006년 봄, 미국, 폴란드, 체코 간의 협상이 보고되었고,[11] 이란과 북한의 ICBM을 겨냥한 ABM 시스템 설치를 제안했다.[11] 이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강한 비판을 불러일으켰다.[9]

640 프로젝트는 중국의 자체 ABM 개발 노력이었다.[13] 1969년, 640 프로젝트 개발을 위해 대탄도탄 및 대위성 미사일 연구원이 설립되었다.[13] 이 프로젝트는 재정 및 정치적 이유로 1980년에 폐쇄되었다.[13] 2006년 3월, 중국은 패트리어트 미사일과 유사한 요격 시스템을 시험했다.[14][15][16]

아스터는 프랑스와 이탈리아가 공동 개발한 미사일 계열이다. 아스터 30 계열은 탄도탄 방어 능력을 갖추고 있다. 2010년 10월 18일, 프랑스는 아스터 30 미사일의 전술적 ABM 시험 성공을 발표했고,[31] 2011년 12월 1일에는 블랙 스패로우 탄도탄 표적 미사일 요격에 성공했다.[32][33]

AD-1 미사일을 사용한 대탄도탄 방어 시험의 2단계


인도는 자체 개발 및 통합 레이더와 자체 미사일을 사용한 ABM 개발을 진행 중이다.[40] 2006년 11월, PADE(Prithvi Air Defence Exercise)를 성공적으로 실시했다.[41] 2007년 12월 6일, 첨단 대공 방어(AAD) 미사일 시스템이 성공적으로 시험되었다.[42] 2020년 1월 8일 현재, BMD 프로그램이 완료되었으며, 인도 공군과 DRDO는 시스템 배치를 위해 정부의 최종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47]

이란에서 개발한 아르만 대탄도탄 요격 미사일.


이란은 탄도탄 방어에 아르만과 S-300 미사일 시스템을 사용했다.[55][56]

4. 1. 미국

미국은 현재 발사 초기 단계인 장거리에서는 GBI 미사일, 해상에서는 스탠더드 미사일을 사용하고, 이전 단계에서 요격에 실패했을 시 최종 단계로 지상에서 중거리용 THAAD, 단거리용 패트리어트 미사일 등을 발사해 적국에서 날아오는 탄도미사일을 요격하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69] 여러 차례의 시험에서 미군은 장거리 및 단거리 탄도탄 요격의 실현 가능성을 입증했으며,[70] MIM-104 패트리엇(PAC-1 및 PAC-2)은 이라크 자유 작전에서 100% 성공률을 기록했다.

미국 해군 RIM-161 스탠다드 미사일 3 대탄도탄 미사일.


미국 해군의 이지스 탄도탄 방어 시스템(Aegis BMD)은 RIM-161 스탠더드 미사일 3을 사용하며, 이 미사일은 ICBM 탄두보다 빠른 속도로 목표물을 타격했다.[71] 2020년 11월 16일, SM-3 블록 IIA 요격기는 링크-16 사령부 통제, 전투 관리 및 통신(C2BMC) 하에 중간 단계에서 ICBM을 성공적으로 요격했다.[72]

미 육군의 종말고고도 지역방어(THAAD) 시스템은 2008년에 생산을 시작했다.[73] THAAD 요격탄의 최대 속도는 마하 8로 보고되며, 탄도 궤적을 따라 하강하는 대기권 밖 미사일을 요격할 수 있다는 것을 반복적으로 증명했다.[74]

미 육군의 지상배치 중간단계 방어(GMD) 시스템은 미사일 방어국이 개발했다. 이 시스템은 지상 기반 AN/FPS-132 업그레이드 조기 경보 레이더 설치 및 이동식 AN/TPY-2 X밴드 레이더와 캘리포니아와 알래스카 주변 지하 사일로에 배치된 44개의 대기권 밖 요격기를 결합하여 불량 국가의 소규모 ICBM 공격으로부터 보호한다. 각 지상배치 요격기(GBI) 로켓은 대기권 밖 살상체(EKV) 운동 에너지 살상 요격탄을 장착하고 있으며, 4개의 요격탄을 목표물에 발사할 경우 97%의 요격 확률을 가진다.

2004년 이후, 미국 육군레이시온의 패트리엇 미사일(SAM) 교전 통제소(ECS)와 다른 7가지 형태의 ABM 방어 사령 시스템을 단거리, 중거리 및 중간거리 탄도탄을 종말 단계에서 직접 충돌 방식으로 요격하도록 설계된 통합 공중 및 미사일 방어 전투 지휘 시스템(IBCS)으로 교체할 계획이다.[75][76][77][78] 2022년 2월 THAAD 레이더와 TFCC(THAAD 화력 통제 및 통신)는 패트리엇 PAC-3 MSE 미사일 발사대와의 상호 운용성을 시연하여 THAAD와 패트리엇 요격탄을 모두 사용하여 표적을 교전했다.[85]

나이키 제우스는 ICBM이 급증하는 시대에 한 번에 하나의 목표물만 공격할 수 있다는 한계 때문에 신뢰할 만한 방어 시스템이 되지 못했다. 또한, 고고도 핵폭발 상황에서 탄두를 성공적으로 요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심각한 우려로 인해, 이 시스템은 제공할 수 있는 보호 수준에 비해 너무 비용이 많이 든다는 결론이 내려졌다.

1963년 취소될 무렵, 잠재적인 업그레이드가 상당 기간 연구되었다. 여기에는 훨씬 더 넓은 공간을 스캔하고 많은 탄두를 추적하며 여러 미사일을 동시에 발사할 수 있는 레이더가 포함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업그레이드는 고고도 폭발로 인한 레이더 블랙아웃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훨씬 낮은 고도(최저 20km)에서 들어오는 탄두를 공격하는 극도로 성능이 뛰어난 새로운 미사일이 설계되었다. 이러한 모든 업그레이드를 포함하는 새로운 프로젝트는 나이키-X로 시작되었다.

나이키-X의 주요 미사일은 LIM-49 스파르탄이었고, 스프린트라는 두 번째 단거리 미사일이 추가되었다. 스프린트는 매우 빠른 미사일이었으며 대기권 내 요격을 위해 1~3킬로톤급의 소형 W66 증강 방사능 탄두를 장착했다.

나이키 X의 실험적 성공은 린든 B. 존슨 행정부로 하여금 미국 전역을 거의 완벽하게 커버할 수 있는 얇은 ABM 방어 체계를 제안하도록 설득했다. 1967년 9월 연설에서 로버트 맥나마라 국방장관은 이를 "센티넬"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ABM의 장점에 대한 공개적인 논쟁이 시작되었다. 이미 ABM 시스템이 전면 공격에 대한 방어에 의문을 제기했던 어려움들이 있었다. 한 가지 문제는 방어 시스템에 거의 경고를 주지 않는 분수 궤도 폭격 시스템(FOBS)이었다. 또 다른 문제는 고고도 EMP가 방어 레이더 시스템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점이었다.

이것이 경제적 이유로 실현 불가능하다는 것이 판명되자, 동일한 시스템을 사용하는 훨씬 더 작은 배치인 세이프가드(나중에 설명됨)가 제안되었다.

레이건 시대의 전략방위구상(SDI)은 대규모 소련 공격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1990년대조지 H. W. 부시 대통령은 단일 지역 지상 기반 로켓 발사 요격 미사일을 사용하는 보다 제한적인 버전을 요구했다. 이러한 시스템은 1992년부터 개발되어 2010년에 운용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소량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요격할 수 있었다.[103] 처음에는 국가미사일방어(NMD)로 불렸으나, 2002년부터 지상배치중간단계방어(GMD)로 개명되었다.

1998년 윌리엄 코헨 국방장관은 북한의 공격이나 러시아 또는 중국으로부터의 우발적 발사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시스템 구축을 위해 대륙간탄도미사일 방어 프로그램에 66억달러를 추가로 투입할 것을 제안했다.[104]

1993년 SDI는 탄도미사일방어기구로 재편되었다. 2002년에는 미사일방어청(MDA)으로 개명되었다.

4. 2. 러시아

S-300 (SA-10)[92][93]

S-300V/V4 (SA-12)

S-300PMU-1/2 (SA-20)

S-400 (SA-21)

S-300VM (SA-23)

S-500 프로메테이 (2021년부터 양산 시작)

S-300PMU-2 발사대.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64N6E2 탐지 레이더, 54K6E2 지휘소, 5P85 TEL


소련군은 1953년 초부터 탄도탄 요격 미사일(ABM) 연구 자금을 요청했지만, 1956년 8월 17일이 되어서야 배치를 시작하라는 승인을 받았다.[92] '시스템 A'로 알려진 소련의 시험 시스템은 초기 미국의 노력과 유사한 V-1000 미사일을 기반으로 했다. 최초의 성공적인 요격 시험은 1960년 11월 24일에 수행되었고, 실제 탄두를 사용한 최초의 시험은 1961년 3월 4일에 이루어졌다.[93] 이 시험에서 카푸스틴 야르에서 발사된 R-12 탄도 미사일이 모의 탄두를 발사했고, 사리샤간에서 발사된 V-1000이 이를 요격했다. 모의 탄두는 발사 후 140초, 고도 25km에서 16,000개의 초경질합금 구형 충격체의 충격으로 파괴되었다.[93]

V-1000 미사일 시스템은 충분히 신뢰할 수 없다고 여겨져 핵무장 ABM으로 대체되었다. 퇴역한 V-1000은 520kg의 과학 탑재물을 400km 고도까지 발사할 수 있는 1Ya2TA 소형 로켓 개발에 사용되었다.[94] 더 큰 미사일인 파켈 5V61(갈로쉬)은 더 큰 탄두를 더 멀리 운반하도록 개발되었다. 모스크바를 보호하도록 설계된 A-35 탄도탄 요격 미사일 시스템은 1971년에 작전 배치되었다. A-35는 대기권 밖 요격을 위해 설계되었으며, 다탄두와 레이더 차단 기술을 사용하는 잘 계획된 공격에 매우 취약했을 것이다.

A-35는 1980년대에 2단계 시스템인 A-135로 업그레이드되었다. 고르곤(SH-11/ABM-4) 장거리 미사일은 대기권 밖 요격을, 가젤(SH-08/ABM-3) 단거리 미사일은 고르곤을 피한 대기권 내 요격을 담당했다. A-135 시스템은 1975년 미국의 세이프가드 시스템과 기술적으로 동등한 것으로 여겨진다.[95]

모스크바 ABM 방어 시스템은 모스크바와 기타 중요 산업 지역을 겨냥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탄두를 요격할 목적으로 설계되었으며, 다음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다.

  • A-35 알단
  • * ABM-1 갈로시 / 5V61[62][63] (퇴역)[64]
  • A-35M
  • * ABM-1B[65] (퇴역)[64]
  • A-135 아무르
  • * ABM-3 가젤 / 53T6[66]
  • * ABM-4 고르곤 / 51T6[67] (퇴역)[68]
  • A–235 누돌 (개발 중)


러시아의 A-135 대탄도탄 시스템(2017년 A-235로 업그레이드)[1]모스크바 방어에 사용된다. 1995년에 실전 배치되었으며, A-35 대탄도탄 시스템이 전신이다. 이 시스템은 이전에는 핵탄두를 장착했던 고르곤 및 가젤 미사일을 사용한다. 이 미사일들은 2017년에 업데이트되어 비핵 운동에너지 요격탄을 사용하여 들어오는 ICBM을 요격한다.[1]

명칭중량(kg)
S-400 48N6E 미사일1700
S-400 9M96E 미사일420


4. 3. 이스라엘



애로우 2 대탄도탄 요격 미사일


이스라엘은 탄도탄 요격 레이저를 최초로 실전 배치하였다.[1]

애로우 프로젝트는 1986년 5월 6일 미국과 이스라엘이 공동으로 자금을 지원하기로 합의한 후 시작되었다.[57]

애로우 ABM 시스템은 "민헤렛 호마"(벽 행정)라는 수십억 달러 규모의 개발 프로그램을 통해 미국이 재정 지원을 하며 이스라엘에서 설계 및 제작되었으며, 이스라엘 국방군 산업(Israel Military Industries), 타디란, 이스라엘 항공 우주 산업(Israel Aerospace Industries)과 같은 회사들이 참여했다.

1998년 이스라엘 군은 애로우 미사일의 성공적인 시험 발사를 실시했다. 최대 약 3.22km의 속도로 들어오는 미사일을 요격하도록 설계된 애로우는 걸프 전쟁 당시 패트리어트 미사일보다 훨씬 더 나은 성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었다. 2004년 7월 29일 이스라엘과 미국은 미국에서 공동 실험을 실시하여 애로우를 실제 스커드 미사일을 상대로 발사했다. 애로우가 스커드 미사일을 직접 명중시켜 파괴함으로써 실험은 성공적이었다. 2005년 12월, 이 시스템은 복제된 샤하브-3(Shahab-3) 미사일을 상대로 한 시험에서 성공적으로 배치되었다. 이러한 성과는 2007년 2월 11일에 다시 한번 반복되었다.[58]

이스라엘의 탄도탄 요격 미사일
미사일설명
애로우 3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포함한 탄도미사일의 대기권 밖 요격이 가능하다.[2] 또한, 반위성 무기로도 기능한다.
다윗의 활이스라엘 방산업체 라파엘 고급 방위 시스템(Rafael Advanced Defense Systems)과 미국 방산업체 레시온(Raytheon)이 공동으로 개발하였으며, 전술 탄도 미사일과 중장거리 로켓, 그리고 헤즈볼라가 보유한 것과 같은 40km~300km 사거리의 속도가 느린 순항미사일을 요격하도록 설계되었다. 이스칸데르와 같은 최신세대 전술탄도미사일 요격을 목표로 설계되었다.



미국 미사일 방어국(MDA) 국장인 패트릭 J. 오라일리 중장은 "애로우 3의 설계는 매우 능력 있는 시스템이 될 것으로 기대되며, 미국의 프로그램에서 시도했던 것보다 더욱 발전된 것입니다."라고 언급했다.

2015년 12월 10일, 애로우 3는 개량된 실버 스패로 표적 미사일이 우주로 발사한 미끼 표적과 실제 표적을 식별, 추적, 구분하는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한 복합 시험에서 첫 요격에 성공했다.[59] 관계자들에 따르면, 이 중요한 시험은 애로우 3의 소량 초기 생산을 위한 길을 열었다.[59]

4. 4. 중국

중국은 1960년대부터 자체적인 탄도탄 요격 미사일(ABM) 개발을 추진해왔다. 1969년에 시작된 640 프로젝트는 센서, 유도/지휘 시스템, 판지(FJ) 미사일, 셴펑(XianFeng) 미사일 요격포 등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3] FJ-1은 1979년에 두 차례 성공적인 비행 시험을 완료했고, FJ-2는 축소형 시제품으로 비행 시험을 했다.[13] 그러나 재정 및 정치적 이유로 1980년에 프로그램이 중단되었다.[13]

2006년 3월, 중국은 패트리어트 미사일과 유사한 요격 시스템을 시험했다.[14][15][16] S-300PMU-2/S-300PMU-1 계열 지대공 미사일을 도입 및 라이선스 생산하고 있으며, 중국산 HQ-9 지대공 미사일도 탄도탄 요격 능력을 보유했을 가능성이 있다.[17] 중국 해군의 Type 052C 구축함과 Type 051C 구축함은 해군용 HQ-9 미사일을 탑재하고 있다.

THAAD와 유사한 HQ-19는 2003년에 처음 시험되었고, 이후 여러 차례 시험되었다.[18] PAC-3의 대응 시스템인 HQ-29는 2011년에 처음 시험되었다.[19]

종말 단계 탄도탄 요격 능력을 갖춘 것으로 알려진 지대공 미사일은 다음과 같다:

2007년 1월, 중국은 지상 발사 요격 미사일을 이용한 위성 요격 실험에 성공했다.[23][24] 이 기술은 이후 탄도탄 요격 미사일 개발에 적용되었다.

중국은 2010년 1월 11일[25], 2013년 1월 27일[28], 2021년 2월 4일에[29][30] 지상 기반 대탄도탄 요격 미사일 실험을 실시했다. 2010년 실험은 대기권 밖 중간 단계에서[25] 직접 충돌 방식 요격체를 사용했으며, 요격 미사일은 SC-19였다.[25][26]

중간 단계 요격 미사일로는 다음이 거론된다:

  • DN-3
  • DN-2
  • DN-1
  • HQ-26[20]


중국의 탄도탄 요격 미사일 중량
미사일중량 (kg)
KS-1 미사일900
HQ-9 미사일1300


4. 5. 일본

일본 해상자위대의 구축함이 스탠다드 미사일 3 요격 미사일을 발사하는 모습.


1998년 북한이 대포동 1호 미사일을 일본 북부 상공으로 발사한 이후, 일본은 미국과 공동으로 패트리엇 PAC-3(Patriot Advanced Capability-3)로 알려진 새로운 지대공 요격 미사일을 개발해 왔다.[60] 시험 발사는 성공적이었으며, PAC-3 배치 예정지는 11곳이다. 이들 예상 배치지는 가데나 공군기지와 같은 주요 공군기지 및 일본군 탄약고 인근이다. 정확한 위치는 공개되지 않았다.[60] 군 대변인[61]도쿄 중심부의 한 사업단지와 황궁 인근 이치가야 등 두 곳에서 시험이 이루어졌다고 밝혔다.

PAC-3과 함께 일본은 미국이 개발한 함대공 요격 미사일 시스템을 도입하여 2007년 12월 18일에 성공적인 시험을 완료했다. 일본은 RIM-161 스탠다드 미사일 3을 탑재하고 이지스 전투체계를 갖춘 이러한 유형의 구축함 4척을 보유하고 있다. 현재 4척의 구축함을 개조하여 탄도탄 방어 능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총 8척의 함정이 탄도탄 방어 임무를 수행하게 될 것이다.[60]

1999년 일본은 미사일 방어(BMD) 공동 개발에 참여했다. 2003년에는 일본 정부가 MD(미사일 방어) 도입을 각의 결정했다. 패트리엇 미사일 PAC-3은 '''일본판 BMD'''의 하나로서, 2007년 3월 30일에 사이타마현의 항공자위대 이루마 기지에 있는 제1고사군 제4고사대에 처음 배치되었다. 이지스함에 대한 탄도탄 대응 능력 부여와 패트리엇 미사일 PAC-3의 배치 전개 등 탄도탄 공격에 대한 체제 정비도 진행했다.

또한 자위대는 레이더, 인공위성, 항공기, 함정 등으로 주변 경계를 감시하고 있다. 일본에 날아오는 탄도탄에 지체 없이 대응하기 위해 JADGE(저지)라고 불리는 자동 경계관제시스템이 일본 각지의 레이더가 포착한 정보를 집약·처리함으로써 착탄 지점 계산 등을 자동 수행하고, 먼 바다의 이지스함 등에 즉시 요격을 명령할 수 있다고 한다. 더 나아가, 해상자위대의 아타고급 이지스함의 능력 향상을 실시하는 동시에, 새롭게 SM-3 블록ⅡA 발사가 가능한 마야급 이지스함 2척을 건조했다.

방위성은 센서와 슈터의 능력을 높여 나가는 한편, 네트워크를 통해 미사일 방어용 장비와 기타 방공을 위한 장비를 일체적으로 운용하는 "종합 미사일 방공" 강화를 위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이 진전되면, 자체 센서로 목표를 포착하지 않더라도 다른 센서의 정보를 이용하여 요격 미사일을 유도할 수 있게 되어 방호 범위가 확대될 것이라고 한다.

4. 6.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북한의 핵무기 개발 프로그램 시작 이후 지속적인 위협에 직면해 왔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으로부터 (PAC-2) 미사일 8개 포대를 도입하며 탄도탄 방어(BDM)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그러나 PAC-2는 원래 항공기 요격용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북한의 탄도 미사일 방어에는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았다.[87]

2018년, 대한민국은 미사일 요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PAC-3로 업그레이드하기로 결정했다. PAC-3는 접근하는 미사일을 직접 타격하는 방식으로 요격한다.[87] 대한민국의 탄도탄 방어 시스템 개발이 더뎠던 주된 이유는 1990년대 초부터 다른 국가의 도움 없이 자체 개발을 시도했기 때문이다.[87]

방위사업청(DAPA)은 2022년 2월 L-SAM 시스템의 시험 발사를 확인했다. 2019년부터 개발된 L-SAM은 대한민국의 차세대 탄도탄 방어 미사일이다. 사거리는 150km로 예상되며, 고도 40km~100km 사이의 표적을 요격할 수 있고, 항공기 요격에도 사용 가능하다. L-SAM 시스템은 2024년 완성되어 실전 배치될 예정이다.[88]

대한민국 탄도탄 요격 미사일
명칭중량(kg)비고
천궁 미사일420
L-SAM미상개발 중


참조

[1] 논문 ENTANGLEMENT AS A NEW SECURITY THREAT: A RUSSIAN PERSPECTIVE https://www.jstor.or[...] 2017
[2] 뉴스 Israel successfully tests David's Sling's interceptor http://www.jpost.com[...] Jpost.com 2012-11-25
[3] 뉴스 There is no guaranteed defence against ballistic missiles—yet https://www.economis[...] 2018-01-28
[4] 웹사이트 Ground-based Midcourse Defense (GMD) System https://missilethrea[...]
[5] 문서 FTM-44 (17 Nov 2020) U.S. Successfully Conducts SM-3 Block IIA Intercept Test Against an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Target https://www.defense.[...]
[6] 비디오 MDA (18 Nov 2020) FTM-44 mission overview https://www.mda.mil/[...] 2024-08-00
[7] 뉴스 A Successful U.S. Missile Intercept Ends the Era of Nuclear Stability https://www.bloomber[...] 2020-11-30
[8] 간행물 Anti-missile defence for Europe – guidelines drawn from the symposium https://fas.org/spp/[...] Assembly of the Western European Union. Technological and Aerospace Committee. Lenzer. via FAS. 1993-05-17
[9] 논문 A US Missile Defence Shield in Europe? Opinions and Arguments in the German Political Debate. Natolin Analyses 7(20)/2007 https://web.archive.[...] 2007
[10] 뉴스 55% Polaków przeciw budowie tarczy (55% of Poles against building the Shield) http://wiadomosci.wp[...] Polska Agencja Prasowa 2007-07-17
[11] 웹사이트 MDA International cooperation https://www.mda.mil/[...]
[12] 웹사이트 (28 July 2016) Aegis Ashore https://www.mda.mil/[...]
[13] 웹사이트 Project 640: China's National Missile Defence in the '70s https://web.archive.[...] SinoDefence.com
[14] 웹사이트 donga.com[English donga] http://english.donga[...] English.donga.com 2006-03-28
[15] 웹사이트 Chinese Version of Patriot Interceptor Said Undergoing Tests https://web.archive.[...] MissileThreat 2006-03-29
[16] 웹사이트 Pentagon Received No Warning of Chinese Missile Defense Test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newswire.org
[17] 웹사이트 HongQi 9 (HQ-9) Surface-to-Air Missile System https://web.archive.[...] SinoDefence.com 2009-10-03
[18] 웹사이트 Did China Just Test a New Satellite-Killer? http://www.thedailyb[...] 2015-11-11
[19] 웹사이트 HQ-29 Anti-Ballistic Missile Interceptor http://www.globalsec[...]
[20] 웹사이트 HQ-19 Anti-Ballistic Missile Interceptor http://www.globalsec[...]
[21] 웹사이트 HQ-18 (S-300V) (China) – Jane's Strategic Weapon Systems http://articles.jane[...] Articles.janes.com 2011-12-16
[22] 웹사이트 Hongqi-15 (HQ-15) https://web.archive.[...] MissileThreat
[23] 웹사이트 4. Anti-Stealth and Countermeasures https://web.archive.[...] SinoDefence.com
[24] 웹사이트 China Adds Precision Strike To Capabilities http://www.aviationw[...] Aviationweek.com 2023-06-00
[25] 뉴스 Demarche Following China's January 2010 Intercept Flight-Test https://www.telegrap[...] 2011-02-02
[26] 뉴스 我国试验陆基反导 此前仅美国进行过相关试验 http://mil.news.sina[...] SINA News 2010-01-12
[27] 웹사이트 NTI http://www.globalsec[...] Global Security Newswire
[28] 웹사이트 China test-fires anti-ballistic missile https://web.archive.[...]
[29] 웹사이트 China conducts another mid-course anti-ballistic missile test https://www.janes.co[...] 2021-02-08
[30] 웹사이트 China Claims It Has Conducted A New Midcourse Intercept Anti-Ballistic Missile Test https://web.archive.[...] 2021-02-04
[31] 웹사이트 SAMP/T Successful on First European Missile Defense Intercept Test https://web.archive.[...] Defense Update 2010-11-26
[32] 웹사이트 Premier tir anti-balistique https://web.archive.[...] Ead-minerve.fr
[33] 웹사이트 Une première en France : un missile intercepté par un antimissile Aster http://www.marianne2[...] Marianne2.fr
[34] 뉴스 France, Italy To Cooperate in Development of Aster Missile https://www.defensen[...] 2016-06-14
[35] 웹사이트 MBDA debuts European hypersonic interceptor concept Aquila https://breakingdefe[...] 2023-06-20
[36] 웹사이트 Aquila: MBDA to lead consortium for European interceptor against hypersonic threats https://newsroom.mbd[...] 2023-06-20
[37] 웹사이트 Permanent Structured Cooperation (PESCO)'s projects - Overview https://www.consiliu[...] 2019-11-12
[38] 웹사이트 Spanish, German companies start work on hypersonic missile interceptor https://www.defensen[...] 2022-09-05
[39] 웹사이트 Timely Warning and Interception With Space-Based Theater Surveillance (TWISTER) https://www.pesco.eu[...] 2019-11-12
[40] 웹사이트 Interview: Vijay Kumar Saraswat Chief Controller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dia's DRDO http://www.defensene[...] 2023-07-00
[41] 웹사이트 Prithvi Mission Milestone in Missile Defence https://web.archive.[...] 2007-12-08
[42] 웹사이트 India successfully conducts interceptor supersonic missile test http://pib.nic.in/re[...] Pib.nic.in 2012-05-11
[43] 웹사이트 DRDO to launch series of missiles https://web.archive.[...] The Hindu 2009-10-17
[44] 웹사이트 India Successfully Test-Fires New Interceptor Missile https://web.archive.[...] News.outlookindia.com 2014-04-30
[45] 웹사이트 India on way to joining exclusive BMD club http://timesofindia.[...] The Times of India 2007-11-26
[46] 웹사이트 India Successfully Tests Supersonic Interceptor Missile https://thediplomat.[...] 2017-07-21
[47] 웹사이트 India's ballistic missile shield ready, IAF & DRDO to seek govt nod to protect Delhi https://theprint.in/[...] 2020-01-08
[48] 뉴스 Rajat Pandit (9 June 2019) India to buy US missile system to shield Delhi https://timesofindia[...] The Times of India 2019-06-10
[49] 웹사이트 Report: India's Homemade Anti-Ballistic Missile Shield Ready https://thediplomat.[...] 2020-01-08
[50] 웹사이트 NASAMS 2: India to buy US missile system to shield Delhi https://timesofindia[...] 2019-06-10
[51] 웹사이트 U.S. State dept. nod for sale of air defence system to India https://www.thehindu[...] 2020-02-11
[52] 웹사이트 India concerned over 'very high price' of American missile shield for Delhi https://www.livemint[...] 2020-02-16
[53] 웹사이트 Not Keen On NASAMS-II, IAF Wants Indian Missile Defence https://www.livefist[...] 2022-07-20
[54] 웹사이트 India's AD-1 missile can intercept, destroy enemy ballistic missiles fired from 5000 km away https://timesofindia[...] 2022-11-03
[55] 뉴스 Iran unveils new air defense weaponry as regional tensions ramp up, IRNA reports https://www.reuters.[...] Reuters 2024-02-17
[56] 웹사이트 Russia Risks Reputation Of Its Weapons Systems With Iran Air Defense Delivery https://www.forbes.c[...] 2024-08-07
[57] 웹사이트 Israeli-United States Relations https://web.archive.[...] Policy almanac 2002-11-04
[58] 뉴스 Israeli missile test 'successful' http://news.bbc.co.u[...] BBC 2007-02-11
[59] 웹사이트 US-Israel Arrow-3 intercepts target in space http://www.defensene[...] Defense News 2015-12-10
[60] 웹사이트 U.S. and Allied Ballistic Missile Defenses in the Asia-Pacific Region Arms Control Association https://www.armscont[...] 2022-04-26
[61] 뉴스 Japan plans Tokyo missile shield http://news.bbc.co.u[...] BBC News 2008-01-15
[62] 웹사이트 GlobalSystems: ''ABM-1''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012-05-16
[63] 웹사이트 Russian Anti-Ballistic Guided Missile Systems https://web.archive.[...] 2008-02-09
[64] 웹사이트 Galosh - Moscow System https://www.globalse[...] Globalsecurity.org 2018-04-20
[65] 웹사이트 Russian/Soviet Anti-Ballistic Missile Systems https://web.archive.[...] 2014-01-27
[66] 웹사이트 Wonderland.org: ''ABM-3'' https://web.archive.[...] 2008-02-09
[67] 웹사이트 Russian Anti-Ballistic Guided Missile Systems https://web.archive.[...] 2008-12-20
[68] 웹사이트 51T6 Gorgon https://www.globalse[...] Globalsecurity.org 2018-04-20
[69] 웹사이트 Leader gives space and missile defense update at SMD Symposium https://www.army.mil[...] 2019-08-08
[70] 웹사이트 ''Operation Iraqi Freedom – Patriot''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012-02-20
[71] 뉴스 BBC NEWS – World – Americas – US missile hits 'toxic satellite' http://news.bbc.co.u[...] 2008-02-21
[72] 웹사이트 MDA Newsroom (17 Nov 2020) U.S. Successfully Conducts SM-3 Block IIA Intercept Test Against an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Target https://www.defense.[...] 2020-11-17
[73] 웹사이트 What Is THAAD, What Does It Do, and Why Is China Mad About It? https://thediplomat.[...]
[74] 웹사이트 Can The U.S. Intercept A North Korean Missile? [Infographic] https://www.forbes.c[...]
[75] 웹사이트 Army Seeks To Field One-Size-Fits-All Battle Command System http://spacenews.com[...] Space News 2004-06-29
[76] 웹사이트 Congress and the Administration Must Reassess Failing Missile Defense Programs http://www.realclear[...] RealClearDefense 2017-05-17
[77] 웹사이트 MOS 14E: Linchpin of Patriot missile system https://www.army.mil[...] 2019-08-08
[78] 웹사이트 So Patriot and THAAD will talk. What does that really mean? https://www.defensen[...] 2018-10-10
[79] 웹사이트 US Army's future missile defense command system nearly simultaneously defeats cruise, ballistic missile threats https://www.defensen[...] 2020-08-20
[80] 웹사이트 Integrated Air and Missile Defense Battle Command System (IBCS) http://www.northropg[...]
[81] 웹사이트 Army continues push for integrated sensors and shooters with latest IBCS contract https://www.defensen[...] 2018-10-02
[82] 웹사이트 Army looks to a future of integrated fire https://www.defensen[...] 2018-10-09
[83] 웹사이트 Army awards Northrop Grumman $1.4 billion contract for IBCS https://breakingdefe[...] 2021-12-23
[84] 웹사이트 Army falls behind with new anti-missile command system https://www.defensen[...] 2017-02-06
[85] 웹사이트 Missile Defense Agency fires Patriot missile from THAAD system https://www.defensen[...] 2022-03-10
[86] 웹사이트 Who to Protect? Taiwan's SAM Systems and the Distribution of Protection https://sites.tufts.[...] 2017-05-09
[87] 논문 The Ballistic Missile Defense Construction Strategies of South Korea and Japan: Self-reliance versus Cooperation with the US https://www.jstor.or[...] 2018
[88] 웹사이트 South Korea tests indigenous long-range surface-to-air missile https://www.janes.co[...]
[89] 간행물 Missile Defense for the 21st Century http://missilethreat[...] Heritage Foundation 2003
[90] 서적 Tools of War: History of Weapons in Modern Times https://books.google[...] Vij Books India Pvt Ltd 2016-05-12
[91] 웹사이트 Argus http://nuclearweapon[...]
[92] 논문 The early development of Russia's ballistic missile defense system 2001
[93] 논문 ABM AND SPACE DEFENSE https://fas.org/spp/[...]
[94] 웹사이트 1Ya2TA https://space.skyroc[...]
[95] 웹사이트 -135 anti-ballistic missile system http://www.globalsec[...]
[96] 서적 A Dictionary of Aviation Osprey 1973
[97] 논문 Military Magic Boosts Astronomy : Declassified technology enhances celestial knowledge https://eds.b.ebscoh[...] 2001-01
[98] 웹사이트 Patriot system performance – report summary http://www.acq.osd.m[...] Defense Science Board Task Force 2005-01
[99] 웹사이트 Hawk https://fas.org/spp/[...] FAS
[100] 웹사이트 Navy Area Defense (NAD) https://fas.org/spp/[...] FAS
[101] 보도자료 DoD Succeeds in Intercepting Non-Functioning Satellite http://www.defenseli[...] U.S. Department of Defense 2008-02-20
[102] 보도자료 Navy Succeeds in Intercepting Non-Functioning Satellite http://www.navy.mil/[...] U.S. Navy 2008-02-20
[103] 웹사이트 Ground-based Midcourse Defense (GMD) http://www.mda.mil/s[...] MDA
[104] 웹사이트 A Viable Defense? https://www.pbs.org/[...] PBS 1999-01-28
[105] 웹사이트 Missile Defense and NATO's Lisbon Summit https://digital.libr[...] 2010-12-28
[106] 웹사이트 U.S. Army announces successful test of U.S. Army Zombie Pathfinder rocket https://www.army.mil[...] 2017-01-08
[107] 웹사이트 Global Warming Could Have a Chilling Effect on the Military http://documents.the[...] 2003-12
[107] 웹사이트 Defense Secretary Calls Climate Change an Existential Threat https://www.defense.[...] 2021-04-22
[107] 웹사이트 Pentagon Confirms Climate Change Is A National Security Threat, Contradicting Trump https://www.huffpost[...] 2019-01-18
[107] 웹사이트 Key Missile Defense Installation Will be Uninhabitable in Less Than 20 Years https://www.scientif[...] 2018-03-01
[108] 웹사이트 Army's Reagan Test Site supports missile test https://www.army.mil[...] 2021-02-24
[109] 웹사이트 Successful SM-3 weapons test offers missile defense opportunity https://www.defensen[...] 2020-1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